은 이렇다.
프로젝트 내부의 IP로 호출하는 부분을
-> 도메인으로 바꾼다.
-> 사내 신규도메인 생성을 최소화 하기위해서 nginx 설정으로 프록시를 해준다.
팀이 바뀌면서 더이상 내가 개발을 하지는 않지만, 배포는 아직 내가 해야하는 상황이었다... 그래서 프로젝트의 세부 설정은 내가 개발하던 때랑 좀 달라져서... 앞으로 내가 개발할것두 아닌데 막 이것저것 바꾸기도 그렇고. 배포하자니 설정을 아예 모를래야 모를수없는 그런 문제가 있었다.
일단 처음에는
* a 와 b는 url의 약칭
내가 원하는건 a를 리턴하는 것
첨엔 이게 실행이 잘 될거라구 생각해서 푸시했었다.
근데 안되는 거임. -> 아 NODE_ENV 가 production 값을 안들고 있나보다. 하고 도커 파일에 타임존과 같이 나란히
이걸 추가해줬다. 근데 이러고 나니까 갑자기 되던 빌드가 안되었다. tailwind.js ? 이것이 문제였다. 그게 뭔지도 모름.
그래서... 웃기지만 NODE_ENV 를 yarn install 다음 부분에 추가하니까 빌드가 되었다. ;;; <- 여전히 이건 왜 때문인지 모름.
그래도~~~~~~~~~~ 안되길래 직접 docker-compose.yml 도 수정해서 거기다 직접 env 를 주기도 해봤고 docker-compose up할때도 값을 주고 해봤다. "NODE_ENV=production docker-compose up" 머 이렇게
그러구선 도커 콘솔에 직접 붙어봤더니
뭐여 'production' 으로 추가가 잘 되었는데 ㅠㅠㅠ 삼항연산자에서는 a 를 리턴하는게 아니라 계속 b만 리턴하는것이었다 !!!!!!!!!!!!!!!!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
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일단 해결을 위해서
NODE_ENV 가 아니라 REACT_APP_NODE_ENV로 값을 주고 3항연산자에서도
그냥 이렇게 비교하니까 잘 되었는데..
이렇게 해결하면 다는 아닌거같음 ㅜ 훔
https://medium.com/@tacomanator/environments-with-create-react-app-7b645312c09d
https://facebook.github.io/create-react-app/docs/adding-custom-environment-variables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48378337/create-react-app-not-picking-up-env-files
이거보면 create-react-app 으로 프로젝트 만들시 react-scripts 쪽에서 env 를 어떻게 받아오느냐의 문제인것같은데,,, 좀더 공부해봐야겠고 일단은 급한대로 배포를 해두었다... 뭐랄까 결국 그냥 삽질인데 하도 내가 뭐땜에 시간 뺏엇는지 나중에 기억이 안나길래 써본 포스트
'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몸이 자꾸 아플때 (0) | 2019.06.04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템플릿 스트링이 안되는 경우 (0) | 2019.04.02 |
집구하기 (0) | 2019.02.09 |
나는 개발했던 내용을 조리있게 잘 설명할 수 있을까? (0) | 2019.02.09 |
1년차 개발자 회고 (0) | 2019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