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시나리오>
1 맥을 지급받아 신난 나.
2 그러나 기존에 지급받은 윈도우 피씨의 리소스(HDD, memory)가 더 큰 상황.
->
<해결책>
1 윈도우즈에서 vagrant로 띄운 우분투에 쌈바 설치(data 연동 가능하게)
2 맥 쉘에서 직접 리눅스(window host / linux guest)쉘의 vagrant 계정으로 ssh연결
그래서 일단 우분투에 samba 설치 중. 문제가 생겨 재설치 함
sudo apt-get autoremove samba samba-common
이게 일단 다 지워줌.
아 이거할필요없음 ㅋ 계속해서 설치에 실패했던게
아 이게 왜안되는 거였냐면
https://askubuntu.com/a/362864/859540
You need to create a UNIX user named student before you create a samba user named student.
~ ~~ 기존에 존재하는 리눅스 유저로 생성했더니 잘 되었다.
유저를 생성하고 난 다음에는
해당 파일을 변경 해준다.
파일의 하단에 다음과 같이 변경한 후 저장
재시작해줍니다.
\\리눅스PC의 IP주소 입력 후 엔터치면 보이는 모습
virtual box 에서 수정 하든가
아래 룰을 추가해준다
uid gid 는 바꿔주는 부분. <- 여기서 uid 1000 gid 1000이거 빼줘야 맥북에서 로그인 한 계정으로 바로 붙을 수 있다.ㅋㅋ 이거 껴가지고 sudo su로 접근해야됐었음
포트포워딩 룰을 추가해준뒤 vagrant up 을 다시해준다.
룰 추가해준후. virtual box의 이미지에 설정 > 네트워크 > 포트포워딩 에 보면 잘 추가되어있는 모습
맥의 쉘에서 윈도우 PC의 가상 vagrant에 접속한 모습
마운트 된 폴더를 확인하기 위해
윈도우(host pc) 에서 해당IP로 해당 폴더에 잘 보인다. 이게 왜 되냐면 아까 80 포트도 포트포워딩 해줘서임 그냥 파인더에서 \\IP 쳐줘두 됨
마운트 된 폴더를 원하는 경로 (내 경우 /Users/n18016/Documents/workspace/data) 에 위치한다.
왜인지 모르겠는데 /data 로 잘 마운트 되었는데 폴더가 보이지 않았다.
sudo -su 를 통해 보니까
아마 현재 내 계정이 권한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같다.
어쨌든 마운트 폴더의 내용은 확인이 가능했다.
성공~
쌈바 세팅 여기보고 잘 따라했다 https://techlog.gurucat.net/290
결론: 그냥 HDD용량 큰거 쓰자
'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목업 툴 추천 (0) | 2019.04.20 |
---|---|
자바가 먼저냐 스프링이 먼저냐 사람이 먼저냐... (0) | 2019.03.15 |
pom.xml 과 lombok plugin (0) | 2019.03.07 |
push to docker private registry from docker hub image (0) | 2019.02.28 |
apache superset start with Docker (0) | 2019.02.22 |